다라이손 구덴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라이손 구덴 칸은 1547년 보디 알라크 칸의 뒤를 이어 몽골 제국의 대칸이 된 인물이다. 그는 알탄 칸의 공격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세력을 유지했으며, 1551년 알탄 칸과 화해하고 대칸으로 추대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약화되었다. 다라이손 구덴 칸은 155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투멘 자사크투 칸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하르부 - 링단 칸
링단 칸은 몽골 차하르부의 칸이자 북원의 마지막 대칸으로, 분열된 몽골 부족들을 재통일하려 했으나 강압적인 통치와 후금과의 대립 끝에 천연두로 사망하여 북원의 해체를 초래했다. - 차하르부 - 투먼 자삭투 칸
투먼 자삭투 칸은 1539년에 태어나 1558년 몽골 차하르의 칸이 되었으며, 우리양카이 등을 복속하고 불교 진흥에 힘썼으나 투메드부와의 갈등 끝에 1592년에 사망했다. - 1520년 출생 - 휴정
휴정은 임진왜란 때 승군을 이끌고 활약했으며, 조선 불교 중흥에 기여하고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한 승려이다. - 1520년 출생 - 교황 식스토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으로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임하며 교황령 치안 확보, 재정 개혁, 로마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고대 유물 훼손, 강압적 재정 정책 등의 논란도 있는 제227대 교황이다. - 1557년 사망 - 자크 카르티에
자크 카르티에는 프랑스의 탐험가로, 북아메리카를 탐험하여 세인트로렌스 강을 발견하고 캐나다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권리를 주장했으며, 세 차례의 탐험을 통해 캐나다 지명과 프랑스의 식민지 개척에 영향을 미쳤다. - 1557년 사망 - 니콜로 타르탈리아
니콜로 타르탈리아는 3차 방정식 해법 발견과 탄도학 연구 등의 업적을 남긴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공학자로, 본래 니콜라 폰타나였으나 어린 시절 부상으로 '말더듬이'라는 뜻의 별명을 얻었다.
다라이손 구덴 칸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덴 칸 |
다른 이름 | |
통치 정보 | |
칭호 | 몽골 제국 제37대 황제 (칸) |
통치 기간 | 1547년 – 1557년 |
즉위식 | 알 수 없음 |
이전 통치자 | 보디 알라그 칸 |
후임 통치자 | 투멘 자사그트 칸 |
가족 관계 | |
왕가 | 보르지긴 씨족 |
아버지 | 보디 알라그 칸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투멘 자사그트 칸 존트 태자 다라이 바가 다르한 다이칭 태자 |
생애 | |
출생 | 1520년경 |
사망 | 1557년 |
기타 정보 | |
종교 | 알 수 없음 |
2. 생애
1520년[3] 보디 아라크 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547년 아버지 보디 아라크 칸이 사망하자, 몽골 우익 투메드부의 강력한 지도자였던 알탄 칸의 공격을 받아 차하르부와 할하부 일부를 이끌고 대흥안령 산맥 동쪽으로 이동해야 했다.[4][5]
1548년 칸으로 즉위했으나, 1551년 알탄 칸과 화해하고 나서야 칭기즈 칸의 영묘인 팔백실에서 정식으로 칸위에 올라 다라이손 구덴 칸이 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실권자인 알탄 칸에게 원나라 시대부터 내려온 명예로운 칭호인 '사도'(司徒)를 수여하고[6], 알탄 칸이 '게겐 칸'이라고 칭하는 것을 승인해야만 했다.[7] 이는 당시 대칸의 약화된 권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1557년 3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4], 다음 해인 1558년 장남 투멘 태자가 칸위를 계승했다.[4]
2. 1. 즉위 이전
다라이손은 1520년[3] 보디 알라크 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519년 혹은 1516년에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그의 이름 다라이손은 몽골어로 '순리를 따르다', '즉시', '순리에 맡기다'는 뜻이다. 중국 한자 문헌에는 打來孫, 達賚遜, 達來孫, 達賚孫, 他賚孫, 打來素 등으로 표기되었다. 그의 초기 삶과 행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아버지 보디 알라크 칸의 재위 기간 중 동부 몽골의 우리양카이 부족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한편 몽골 우익에서는 사인 알락 지농의 세 아들이 실력자로 부상했으며, 다라이손이 즉위할 무렵에는 몽골 카안의 권위가 약화되어 명목상의 지도자에 불과한 상태였다.
1547년 아버지 보디 알라크 칸이 사망하자[4], 몽골 우익 투메드 투멘의 알탄 칸은 즉시 몽골 좌익 삼 투멘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태자였던 다라이손은 차하르부와 할하부 일부(5오토크 할하)를 이끌고 동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5]. 일설에는 알탄 칸이 동쪽으로 가도록 위협하고 강요했다는 주장도 있다. 다라이손은 대흥안령 산맥 동쪽과 요하 상류 유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유목지를 마련했다[4][5].
2. 2. 즉위
아버지 보디 알라크 칸 시대에 우리양카다이의 반란을 자체적으로 진압하지 못하고 다른 부족의 도움을 받아 겨우 진압하면서 대칸의 통치권은 직할령인 차하르부에 국한될 정도로 약화되었다.[3]1547년 아버지 보디 알라크 칸이 사망하자[3], 강력한 세력을 가진 우익 투메드부의 알탄 칸이 즉시 좌익 3투멘을 공격하여 다라이손 태자를 동쪽으로 몰아냈다. 당시 알탄 칸은 대칸의 권위를 공공연히 무시하고 저항하는 상황이었다. 결국 다라이손 태자는 차하르부와 할하부 일부(5오토크 할하)를 이끌고 다싱안링산맥 동쪽 요하 상류 유역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4][5] 그는 이듬해인 1548년 칸으로 즉위했으나, 알탄 칸과의 힘의 불균형은 계속되었다.
1551년, 다라이손 칸은 알탄 칸과 화해하고 나서야 팔백실(칭기스 칸 묘)에서 정식으로 칸에 즉위하여 다라이손 구덴 칸이 될 수 있었다. 그는 이 대가로 알탄 칸에게 원나라 시대부터 내려온 명예로운 칭호인 '사도'(司徒)를 수여했고[6], 알탄 칸이 '게겐 칸'이라고 칭하는 것을 승인해야 했다.[7]
2. 3. 알탄 칸과의 협상과 영토 분할
1547년, 아버지 보디 아라크 칸이 사망하자, 투메드 투멘의 강력한 지도자였던 알탄 칸은 좌익 3투멘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당시 태자였던 다라이손은 차하르부와 할하부 일부(5오토크 할하)를 이끌고 대흥안령 산맥 동쪽, 요하 상류 지역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4][5] 그는 다음 해인 1548년 칸으로 즉위했다.세력 열세를 인정한 다라이손 칸은 1551년 알탄 칸과 화해를 모색했다. 그는 알탄 칸과 평화 협상을 맺고, 칭기즈 칸의 영묘인 팔백실(八白室, 나이만 차간 게르)에서 정식으로 대칸 즉위식을 거행하여 다라이손 구덴 칸이 되었다. 이 협상의 대가로 다라이손 구덴 칸은 알탄 칸에게 원나라 시대부터 내려온 명예로운 칭호인 '사도(司徒)'를 수여하고[6], 알탄 칸이 스스로 '게게엔 칸(格堅汗)'이라 칭하는 것을 승인했다.[7] 이는 실질적인 권력을 가진 알탄 칸에게 명분을 주는 타협이었으나, 형식적으로나마 몽골 대칸의 권위를 유지하려는 노력이었다.
협상 이후 다라이손 구덴 칸은 요동 혹은 만주 인근, 여진족과의 경계 지역인 차하르 동쪽으로 거처를 옮겨 황궁을 세웠다. 이 시기부터 대칸의 실질적인 권력은 약화되기 시작했으며, 몽골 각지에서 보르지긴 씨족을 포함한 여러 부족장들이 스스로 칸을 칭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몽골 귀족들은 여전히 다라이손 구덴 칸을 몽골 전체의 형식적인 지도자로 인정했다.
다라이손 구덴 칸은 동쪽 다싱안링산맥 주변 우량카이 3위의 영토 중 태녕위, 복여위 지역과, 동쪽으로 이주하기 전 옛 차하르부의 영지를 아들 쿤도두랄 타이지에게 물려주었으며, 호오치드부(Хуучид)를 새로 창설하여 분할 통치했다.
2. 4. 사망
1557년, 다라이손 구덴 칸은 38세로 사망했다.[4] 그의 정확한 사망 장소나 원인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몽골 제국 카안 지위와 차하르부 칸의 자리는 장남인 투멘 자사그트 칸이 다음 해인 1558년에 칸위를 계승했다.[4]2. 5. 사후
다라이손 구덴 칸 사후 몽골 제국 대칸의 권위는 점차 약화되었고, 외할하부는 각자 칸을 칭하며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다라이손 구덴 칸의 정확한 사망 장소와 사망 원인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몽골 제국 카안의 지위와 차하르부의 칸 자리는 아들인 투멘 자사그트 칸이 이어받았다. 그의 몽골식 존호인 구덴 칸에서 '구덴'은 몽골어로 '좋은' 또는 '엉덩이'를 의미한다.
3. 가족 관계
- 투멘 자사크트 칸
- 조토 태자
- 다라이 바가 다르한
- 다이친 태자
참조
[1]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
간행물
Die mongolischen Völkerschaften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3]
문서
蒙古源流
[4]
문서
[5]
문서
[6]
문서
알탄・칸전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